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9

[불교경전] 원각경 보안보살장-2(원문,뜻,해설) 원각경의 원래이름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입니다. 오늘은 원각경에서 가장 널리 익히는 보안보살장의 두 번째 이야기를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보안보살님은 화엄경 약찬게에서도 그 뜻을 알수 있는데요. 화엄경 약찬게 중 '법보계장 여보안'이라는 구절에 등장하십니다. 보시한 것에 대한 분별없는 분이라는 뜻이라 생각이 됩니다. ○ 원각경보안보살장 두번째 (원문) - 선남자 피신학보살 급말세중생 욕구여래정원각심 응당정념 원리제환 선의여래 사마타행 견지금게 안처도중 연좌정실 항작시념 아금차신 사대화합 소위발모치 피육근골 수뇌구색 개귀어지 타체농혈 진액연말 담루정기 대소변리 개귀어수 난기 귀화 동전 귀풍 사대 각리 금자망신 당재하처 즉지차신 필경무체 화합위상 실동환화 사연 가합 망유육근 육근사대 중외합성 망유연기 어중.. 2023. 11. 23.
[불교경전] 원각경보안보살장-1(유래,원문,해석) 우리 불교의 소의경전 중 하나인 원각경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보안보살장'의 원문과 해석 그 유래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자료는 보안보살장을 총 다섯 장으로 나누어 알려주고 있으므로 이에 맞춰 하루에 한편씩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은 첫 번째 시간입니다. □ 유래 - 원각경의 원명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입니다. 석가모니부처님과 문수(文洙), 보현(普賢), 미륵보살님 등 12보살님이 문답한 것을 각각 하나의 장으로 구성을 한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유마경', '능엄경'과 함께 3대 선(禪)의 경(經)입니다. 이 중 지금 말씀드린 보안보살장은 화엄경의 '보현행원품'과 법화경의 '관세음보살보문품'과 함께 가장 널리 독송되는 경전입니다. 대승 궁극의 경지를 남김없이 완전하게 설한 경.. 2023. 11. 22.
[불교예절] 법당에서 신도가 지켜야 할 예법 불교라는 종교는 누구에게나 열려있고 모든 것을 다 인정합니다. 그리고 법당은 누구에게나 열려있고 언제든 방문하여 원하는 바대로 기도드릴 수 있고 절을 올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불교에서 절은 '도량'이라고 하여 청정한 곳이라고 되어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청정한 곳에서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다른 이들과 부처님과 스님들과 가르침에 대해서 예의를 지킬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가 절이나 법당에서 신도뿐만 아니라 방문한 사람까지도 지켜야 할 예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사실 가장 일반적이고 어디서든 다른 사람의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지키는 매너만 지킨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절은 대부분 산속에 있고 명소로 알려진 곳이 많습니다. 그래서 '절'을 가기 위해 가시는 분들은 신도분 외에 많.. 2023. 11. 21.
[불교경전] 의상조사 법성게(원문,뜻,해석,유래)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고승이신 의상대사께서 '화엄경'을 연구하고 그 경의 뜻을 추려서 남기신 말씀인 '의상조사 법성게'의 원문과 뜻, 해석, 유래 등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 의상대사님 - 원효대사 해골물로 유명한 그 일화에서 옆에 계셨던 스님이 의상대사이십니다. 삼국시대 '화엄종'의 개조이시고 화엄십찰의 건립자이십니다. 우리나라 불교에서 조계종, 태고종, 천태종 등등 각종파를 나누기도 하는데 그중의 '화엄종'도 있습니다. 화엄종은 근본경전을 화엄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 화엄경 - 화엄경은 너무 방대해서 정말 쉽게 접근하기도 힘들죠, 그래서 '화엄경약찬게'를 통해 접하기도 합니다. 저 역시 화엄경 약찬게를 독송하기도 합니다. 법정스님께서 남기신 '화엄경' 책을 통해서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선재.. 2023. 1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