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왕삼매론3

[역경을 즐기는 방법] 하루 한편 보왕삼매론 3.(장애) 즐겁게 살아가는 순간에도 어쩌면 그 순간이 나에게는 역경일 수도 있으나 오랜 공부를 통해 그 역경을 즐기게 되어 웃음이 나올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루 한편 보왕삼매론 3. '장애' 입니다.3. 마음공부와 장애 마음공부에 장애 없기를 바라지 말라 구심불구무장(究心不求無障) 마음 공부에 장애가 없으면 심무장즉(心無障즉) 배움이 등급을 뛰어넘게 되고 소학렵등(所學躐等) 배움이 등급을 뛰어넘으면 반드시 학렵등필(學躐等必) 얻지 못하고서도 '얻었다'고 하느니라. 미득위득(未得謂得) 이 장애에 뿌리가 없다는 것을 이해하면 해장무근(解障無根) 장애가 스스로 고요하여져서 즉장자적(卽障自寂) 장애에 걸릴 것이 없어지나니 장불위애(障不爲碍) 그러므로 대선인이 시고대성화인 '장애 속을 자유로이 거닐어라' 하셨느니라. .. 2024. 6. 19.
[역경을 딛고 나아가자] 하루한편 보왕삼매론 2. (고난) 우리가 마주하는 순간은 헤쳐나가기 쉽지 않은 순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에게 찾아오는 고통은 참고 견딜만합니다. 그 역경을 딛고 나아가 마침내 이루어 낼때 인생은 더 행복해집니다. 하루한편 보왕삼매론 두번째 '고난' 입니다.2. 고난은 해탈의 원동력   세상살이에 고난 없기를 바라지 말라.               처세불구무난   세상살이에 고난이 없으면                               세무난즉   반드시 교만과 뽐내는 마음이 생겨나고              교사필기   교만과 뽐내는 마음이 일어나면 반드시             교사기필   일체를 속이고 억압하려 하느니라.                   기압일체   고난의 경계를 잘 살펴                     .. 2024. 6. 15.
[역경속에 찾는 가치] 하루 한편 보왕삼매론 1(병고) 우리의 모든 삶은 순조로운 순경계가 아닌 고난과 역경속에 살아가는 역경계입니다. 이 세계를 '사바세계'라고도 합니다. 하루하루 순간순간 나에게 찾아오는 많은 과정들을 슬기롭게 헤쳐나가고자 하루 한편 보왕삼매론을 남겨보고자 합니다. 첫번째로 '병고' 입니다.1. 병고를 양약으로 삼아 몸에 병 없기를 바라지 말라. 念身不求無病(념심불구무병) 몸에 병이 없으면 身無病즉(신무병즉) 탐욕이 생겨나기 쉽고 貪欲乃生(탐욕내생) 탐욕이 생겨나면 마침내 貪欲生必(탐욕생필) 파계하여 도에서 물러나게 되느니라. 파戒退道(파계퇴도) 병의 인연을 살펴 識病因緣(식병인연) 병의 성품이 공(空)한 것을 알면 知病性空(지병성공) 병이 '나'를 어지럽히지 못하나니 病不能惱(병불능뇌) 그러므로 대성인이 是故大聖化人(시고대성화인) '병고.. 2024.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