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수경9

[불교경전공부] 천수경-'참회게'부터 마치는 '총귀의'까지 입니다. 하루하루 순간순간 나 자신이 지은 죄업에 대해 반성하고 또 반성하며 그와 같은 죄업을 다시 짓지 않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다짐을 하는 부분입니다. '십악참회'를 반성하고, 그동안의 죄업과 이 죄업이 생겨남과 진정한 참회에 대해 반성하는 부분입니다. - 백겁적집죄 : 백겁 천겁 쌓인 죄업 ※ 겁 : 사방 30km가 넘는 큰 바위가 백년에 한 번씩 옷깃으로 스쳐 그 바위를 닳게 하는 시간 - 일념돈탕진 : 한 생각에 없어져서 - 여화분고초 : 마른풀을 태우듯이 - 멸진무유여 : 남김없이 사라지네 - 죄무자성종심기 : 죄의 자성 본래 없어 마음 따라 일어나니 - 심약멸시죄역망 : 마음 만약 없어지면, 죄업 또한 사라지네 - 죄망심멸양구공 : 모든 죄가 없어지고 마음조차 사라져서, 죄와 마음 공해지면 - 시즉명위.. 2023. 9. 8.
[불교경전공부] 천 수 경 - 신묘장구대다라니 안녕하세요. 오늘은 천수경의 핵심이자 존재의 의미라고도 할 수 있는 '신묘장구대다라니'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 - 그대로 해석하면 '신통 미묘하고 거룩한 큰 말씀'이라는 뜻입니다. 관세음보살님의, 관세음보살님에 대해, 관세음보살님께 말씀드리는 거룩한 핵심적인 진실한 말입니다. 처음에 절에 다니며 예불을 드릴 때 천수경은 물론이고, 신묘장구대다라니에 대해서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예불을 하는 절차 중에 하나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나 공부를 하면 할 수록 이토록 중요하고, 이토록 신성한 말씀은 달리 없다고 느끼게 됩니다. 어쩌면 불교경전공부에 대해 글을 작성하게 되고, 천수경에 대해서 함께 공부하는 글을 남기는 근본적인 원인이자, 신묘장구대다라니를 작성하기 위한 하나의 큰 단계.. 2023. 9. 3.
[불교경전공부] 천 수 경 - '별원'에서 '소청'까지. 우리나라 불교의 근본인 천수경 예경에서, "각각의 서원을 발원하는 '별원'에서부터 모든 보살님께 귀의하는 '소청'까지 부분" 을 함께 공부해 보고자 합니다. 오늘은 '별원'부분입니다. 더러워진 입을 씻어서 부처님께 경을 시작함을 기원드리며, 특히 천수천안관세음보살님의 큰 다라니를 청한 후 각각의 원을 말씀드리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은 '나무대비관세음'을 말씀드리고 이후 각각의 원을 다르게 말씀드립니다, '나무'는 예배하다, 귀의하다라는 뜻이죠. '대비'는 대자대비라는 뜻입니다. 큰 자비를 베푸신다는 말이죠. '관세음'은 아발로키테스바라, 관세음보살님을 뜻합니다. 세상의 모든 소리를 관찰하시는 분이라는 뜻입니다. 자, 이제 경을 글로 풀어보겠습니다. 나무대비관세음(南無大悲觀世音) : 대자대비하신 관세음보살.. 2023. 9. 1.
[불교경전공부] 천 수 경 - 경을 열고, 귀의하는 시작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수행자로서, 천수경에 대해서 계속하여 공부하고자 오늘은 경을 여는 '개開경經'부터 천수천안관자재보살님께 청하는 '계청' 부분까지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구성을 다시 알려드리겠습니다. ○ 전송 1. 개경, 2. 계청, 3. 별원, 4. 별귀의, 소청, 5. 다라니, ○ 후송 6. 찬탄, 7. 참회, 8. 준제주, 9. 총원, 10 총귀의 입니다. 오늘은 1번부터 2번까지에 대해서 공부합니다. 천(千) 수(手) 경(經) 정구업진언(구업을 깨끗이 하는 진언) -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세 번) 청정하고 청정한, 위대한 청정의 님이시여 (대 길상존이시여) 승묘한 청정의 님이시여 스와하(사바하) 여기서 '수리'는 훌륭하다, 아름답다 라는 의미입니다. '마하'는 크다, 원대한 이.. 2023. 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