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라니4

[불교경전공부] 천수경-'참회게'부터 마치는 '총귀의'까지 입니다. 하루하루 순간순간 나 자신이 지은 죄업에 대해 반성하고 또 반성하며 그와 같은 죄업을 다시 짓지 않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다짐을 하는 부분입니다. '십악참회'를 반성하고, 그동안의 죄업과 이 죄업이 생겨남과 진정한 참회에 대해 반성하는 부분입니다. - 백겁적집죄 : 백겁 천겁 쌓인 죄업 ※ 겁 : 사방 30km가 넘는 큰 바위가 백년에 한 번씩 옷깃으로 스쳐 그 바위를 닳게 하는 시간 - 일념돈탕진 : 한 생각에 없어져서 - 여화분고초 : 마른풀을 태우듯이 - 멸진무유여 : 남김없이 사라지네 - 죄무자성종심기 : 죄의 자성 본래 없어 마음 따라 일어나니 - 심약멸시죄역망 : 마음 만약 없어지면, 죄업 또한 사라지네 - 죄망심멸양구공 : 모든 죄가 없어지고 마음조차 사라져서, 죄와 마음 공해지면 - 시즉명위.. 2023. 9. 8.
[불교경전공부] 천 수 경 - 신묘장구대다라니 안녕하세요. 오늘은 천수경의 핵심이자 존재의 의미라고도 할 수 있는 '신묘장구대다라니'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신묘장구대다라니 - 그대로 해석하면 '신통 미묘하고 거룩한 큰 말씀'이라는 뜻입니다. 관세음보살님의, 관세음보살님에 대해, 관세음보살님께 말씀드리는 거룩한 핵심적인 진실한 말입니다. 처음에 절에 다니며 예불을 드릴 때 천수경은 물론이고, 신묘장구대다라니에 대해서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예불을 하는 절차 중에 하나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나 공부를 하면 할 수록 이토록 중요하고, 이토록 신성한 말씀은 달리 없다고 느끼게 됩니다. 어쩌면 불교경전공부에 대해 글을 작성하게 되고, 천수경에 대해서 함께 공부하는 글을 남기는 근본적인 원인이자, 신묘장구대다라니를 작성하기 위한 하나의 큰 단계들.. 2023. 9. 3.
[불교경전공부] 천 수 경 - 경을 열고, 귀의하는 시작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수행자로서, 천수경에 대해서 계속하여 공부하고자 오늘은 경을 여는 '개開경經'부터 천수천안관자재보살님께 청하는 '계청' 부분까지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구성을 다시 알려드리겠습니다. ○ 전송 1. 개경, 2. 계청, 3. 별원, 4. 별귀의, 소청, 5. 다라니, ○ 후송 6. 찬탄, 7. 참회, 8. 준제주, 9. 총원, 10 총귀의 입니다. 오늘은 1번부터 2번까지에 대해서 공부합니다. 천(千) 수(手) 경(經) 정구업진언(구업을 깨끗이 하는 진언) -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세 번) 청정하고 청정한, 위대한 청정의 님이시여 (대 길상존이시여) 승묘한 청정의 님이시여 스와하(사바하) 여기서 '수리'는 훌륭하다, 아름답다 라는 의미입니다. '마하'는 크다, 원대한 이.. 2023. 8. 29.
[불교경전공부] 천수경 - 개요 대한민국 불교의 모든 것이라 할 수 있는 '천수경' 공부를 시작하며 오늘은 천수경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며 함께 공부하고자 합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들은 삶을 살아가시며 힘들고 괴롭고 어둡고 컴컴하여 앞으로 나아가기 조차 힘들 때 의지하는 곳이 있으신가요? 주위에 아무도 없다고 느낄 때, 아무도 나를 도와주지 않고, 바라봐 주지 않는다고 느낄 때 누군가에게 의지할 수 있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며 하루하루를 수행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우리가 불교와 관련해서 많이 들어본 것이 '나무아미타불'일 것입니다. 여기서 '나무'라는 말은 숲을 이루는 나무가 아닌, 한자로는 南無(남무)인데요. 뜻은 '돌아가서(南), 의지함(無)'이라는 것입니다. 돌아간다는 것은 우리의 태.. 2023. 8.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