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강2

[불교경전] 금강반야바라밀경 no.3(일상무상분-존중정교분) 금강반야바라밀경에서 꼭 기억하셔야 할 것은 바로 '상을 내지 않는 것'입니다. 이 '상'자는 모양을 뜻하는 상에 의미보다는 생각을 나타내는 상에 의미에 더 가깝습니다. 즉, 나의 '생각, 견해, 선입견'을 내지 않는 것입니다! 굉장히 중요한 의미입니다. 오늘은 금강반야바라밀경에 대한 세 번째 포스팅을 이어가고자 합니다. 지난번에는 의법출생분 제팔(8)까지 하였습니다. ○ 일상무상분(절대의 법은 존재가 아니다, 관념과 그 관념의 부정) 제구(9) - 수보리 어의운하 수다원 능작시념 아득수다원과부 수보리언 불야 세존 하이고 수다원 명위입류 이무소입 불입색성향미촉법 시명수다원 수보리 어의운하 사다함 능작시념 아득사다함과부 수보리언 불야 세존 하이고 사다함 명일왕래 이실무왕래시명사다함 수보리 어의운하 아나함 능.. 2023. 11. 5.
[불교경전] 금강반야바라밀경 no.2(여리실견분-의법출생분) 지난 포스팅에 이어 금강반야바라밀경 2번째 이야기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금강반야바라밀경은 대승불교의 소의경전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소의경전의 뜻은 가르침의 근본사상과 정신을 담고 있어서 믿고 의지할 만한 경전이라고 합니다. 600부의 이르는 반야경의 앞부분의 핵심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이고 뒷부분은 금강반야바라밀경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묘행무주분 제사(4)까지 하였습니다. https://ostornados.com/entry/%EB%B6%88%EA%B5%90%EA%B2%BD%EC%A0%84-%EA%B8%88%EA%B0%95%EB%B0%98%EC%95%BC%EB%B0%94%EB%9D%BC%EB%B0%80%EA%B2%BD-no1 [불교경전] 금강반야바라밀경 no.1 우리나라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분들이 .. 2023. 11. 4.